[Maven ④] Maven 프로젝트 컴파일과 실행하기
[Maven ④] Maven 프로젝트 컴파일과 실행하기
뉴렉처 Maven 강의내용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Maven(메이븐) 프로젝트 컴파일과 실행
이번에는 IDE 없이 Maven을 이용하여 컴파일과 실행을 해보자!
우선 저번 시간에 Maven으로 생성한 javaprj디렉토리를 살펴보자. Root 디렉토리에는 항상 pom.xml파일이 존재한다.

소스코드 컴파일, 실행 등 Maven 관련 명령어를 실행할 때는, 항상 pom.xml파일이 있는 루트 디렉토리에서 실행해야 한다!
컴파일과 실행을 위해 우선 소스코드를 편집해보자.
소스코드 편집과 실행과정
소스코드 편집

컴파일
Root 디렉토리위치에서 mvn compile을 실행한다.

Error
- 선생님 강의 중 발생한 error
-
컴파일러 옵션을 바꾸라는 에러

-
해결방법 :
pom.xml에 다음과 같은 코드를 추가한다.
<properties>
<maven.compiler.source>1.8</maven.compiler.source>
<maven.compiler.target>1.8</maven.compiler.target>
</properties>
-
<maven.compiler.source>1.8</maven.compiler.source>: 1.8버전으로 컴파일 되게 해라 -<maven.compiler.target>1.8</maven.compiler.target>: 1.8이상에서 수행되도록 컴파일 해라 -
수정 이후 다시 컴파일하면 Build 성공

컴파일 결과 확인
javaprj\target디렉토리
에 자바 소스파일을 컴파일한 결과인 .class 파일이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프로젝트를 패키지화해보자
mvn package 명령을 통해 패키지(.jar 파일)를 만들 수 있다.

결과확인
SNAPSHOT1.0버전으로 패키지 생성완료되었다.

실행
컴파일된 클래스 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방법은 2가지이다.
-
classes디렉토리 안의 App.class파일을 직접 실행 -
target디렉토리 안의 .jar 배포파일을 통해 실행
그럼 (방법2) 패키지화 된 .jar 파일을 통해 실행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jar파일은 확장자가 .jar인 압축파일이다.
잠시 확장자를 .zip으로 바꿔서 안을 들여다보면, 압축된 형태일 뿐 자바 프로젝트와 내용물이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jar파일을 이용해서 해당 파일 안에 있는 클래스 파일을 실행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제 배포파일을 실행해보자
명령어는 다음과 같다.
java -cp target\javaprj-1.0-SNAPSHOT.jar com.newlecture.App
명령어 해석
-
com.newlecture.App: 실행하고자 하는 클래스 파일 이름 -
cp(class path): 클래스 파일이 위치한 경로를 지정하기 위한 명령어 -
target\javaprj-1.0-SNAPSHOT.jar: 실행할 파일이 위치한 실제 경로
즉 java를 이용하여 com.newlecture.App파일의 main함수를 실행할 것이고,
해당 파일이 사용하고 있는 라이브러리가 존재하는 target\javaprj-1.0-SNAPSHOT.jar 를 classpath로 지정하여 클래스를 실행하겠다.
실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가 편집한 내용이 제대로 찍힌다!
댓글남기기